엘리어트 파동이론
<조정파동 교정파 (Corrective wave) 형태>
엘리어트는 충격파보다 교정파(조정파)를 관찰하는 것이 더 어렵다고 했고 이를 잘 파악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평가했다. 교정파의 형태는 크게 3가지로 나누고 이 3가지에 포함되지 않으면 불규칙한 형태로 따로 정의했다.
1.지그재그형 2.플랫형 3.삼각형형 4.불규칙형
>물론 모든 조정파가 단순히 그림의 형태로 나누어 지지 않는다. 삼각형의 경우에도 상단플랫 하단상승, 상단하강 하단플랫 등 세부적으로 더 나눠져 있다.
<연장파>
연장파는 충격파에서만 관측되는 파동이다. 이전 글에서 충격파가 5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졌다고 했는데, 충격파에서 연장파가 나타나는 경우는 5개 이상의 파동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.
>충격파의 5번째 파동이 하위 5파로 연장되는 형태이다. 겉으로 보기에는 총 9개의 파동으로 이뤄져있다.
>해당 개념은 앞에서 언급한 프렉탈의 개념처럼, 각각의 파동을 분류하여 무한이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른 해석이 필요한 부분이다.
엘리엇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_(개론2)
앨리어트 주식차트의 변동은 큰 파동안에 작은 파동이 반복됨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한다. 1. [상승 국면] 상승국면에서 상승파는 5개의 하위 파동으로 이루어진다. 또한 상승 국면에서의 조정(
moneygetter.tistory.com
<파동이론의 한계점>
- 자의적 해석이 많이 개입되어 정확성을 입증하기 어렵다.
>결국 본인의 원칙을 만들고 이를 수정하면서 매매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.
2.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.
>무한한 경우의 수가 나오는 만큼 큰틀에서 작은 경우를 분석하고 기준을 잡고 해석해야 한다.
3. 돌발변수가많은경우파동이론의적용이어렵다.
4. 정확하고일관된가격데이터가없으면분석이어렵다.
>인위적이거나 단순한 돌발데이터의 영향을 모든 가격지표가 받지만, 24시간의 모든 변수와 거래를 받아내는 가상화폐라면 특정한 경향성을 띄울 확률이 보다 높은 것이다. 또 단순한 개인이 시세조작을 하기 힘들 만큼의 시총을 가지고 있는 Bitcoin이라면 충분히 여러 변수를 담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.
*참고사항
- 종가 기준이 아닌 차트의 고점과 저점 데이터로 분석 해야 한다.
- 거래가 오랫동안 이루어져 가치가 검증된 대상이어야 한다.
'엘리엇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엘리어트 파동이론 2파 조정 매매 활용_(이론) (0) | 2022.10.01 |
---|---|
앨리어트 파동이론_연장파(확장파) (0) | 2022.09.29 |
앨리어트 파동이론_(조정파의 형태와 복합조정) (0) | 2022.09.29 |
엘리엇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_(개론2) (4) | 2022.09.10 |
엘리엇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_(개론) (0) | 2022.09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