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엘리엇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

엘리엇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_(개론2)

앨리어트 주식차트의 변동은 큰 파동안에 작은 파동이 반복됨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한다.

1. [상승 국면]

 

 상승국면에서 상승파는 5개의 하위 파동으로 이루어진다. 또한 상승 국면에서의 조정(교정)파는 3개의 하위 파동으로 이루어진다.

 

>상승국면에서 상승의 경향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승은 5개의 파동/ 하락은 3개의 파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.

 

2. [하강국면]

 

 하강국면에서는 조정파가 3개의 하위파동으로 이루어지고, 하강파는 5개의 하위파동으로 이루어진다.

>이러한 경향 역시, 하강파동이 진행될 때 하강의 경향을 유지하려하고, 하강은5개 조정은 3개의 파동으로 이해한다.

 

 

> 내맘대로 그려보기

https://kr.tradingview.com/chart/clu5uiTv/?symbol=BINANCE%3ABTCUSDT 

 

-트레이딩뷰 사이트를 통해서 다우지수를 검색하고, 마음대로 끼워 맞춰봤으나 잘 모르겠다.

1,2,3,4,5파와 A,B,C 하락파도 대입했는데, 아직 하락 그래프를 대입하려니 기준이 애매하다.

다만 상승국면에서 상승의 5파와 조정 3파는 어느정도 기준점이 보였다.

 

 

3. [파동의 사이클]

 

엘리어트는 파동의 사이클이 작게는 몇분에서 크게는 수십년간의 차트에서도 모두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. 그의 논문에서 파동의 사이클을 총 9단계로 구분하였는데, 주기에 따른 사이클의 명칭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,

 

  • 그랜드 슈퍼사이클(Grand Supercycle) : 100년 이상의 주기
  • 슈퍼사이클(Sypercycle) : 100년 이하의 주기
  • 사이클(Cycle) : 약 30년의 주기
  • 프라이머리(Primary) : 약 10년의 주기
  • 인터미디어트(Intermediate) : 월간
  • 마이너(Minor) : 주간
  • 마이뉴트(Minute) : 일간
  • 미뉴에트(Minuette) : 시간
  • 서브미뉴에트(Sub-Minuette) : 시간 이하

 

엘리엇 파동은 프랙탈 구조이므로, 이론적으로 열거된 주기들보다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생길 수 있다.

 

자연의 법칙 등으로 엘리어트 파동을 설명하고 근거를 더하는 이야기가 많은데 다소 받아들이기는 어려우나, 사실 변수가 많고 모집단이 커질수록 대부분의 현상이 정상분포를 이루는거 처럼 단순하지만 큰 기준이 될 수 있다고도 생각이 든다. 천천히라도 해보고 적용해보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