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연장파>
연장파는 충격파에서만 관측되는 파동이다. 이전 글에서 충격파가 5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졌다고 했는데, 충격파에서 연장파가 나타나는 경우는 5개 이상의 파동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.
>1파 확장
: 1파가 작은 단위의 5파로 확장된 형태.

>3파 확장
: 3파가 작은 단위의 5파로 확장된 형태.

>5파 확장
: 5파가 작은 단위의 5파로 확장된 형태.

: 5파에서의 확장이 발생 확률이 가장 높고, 1파에서의 확장이 확률적으로 발생이 적다.
>불특정 확장파
:어느 구간에서 확장이 일어났는지 확인이 어려우나, 특정 파동에서


>작은 단위에서 파동 카운팅 하면서, 상승 파동에 대한 분석 기준이 없었는데 연장파를 보면서 해석 해볼까 생각했다.
: 연장파의 불규칙성 파동을 활용하면 9개의 파동으로 구분할 수 있으니,인터미디어트(Intermediate : 월간) 수준에서 임펄스로 볼 수 있을까? 고민된다.
'엘리엇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엘리어트 파동이론 책 정리_(1)_[기본 형태, 사이클, 연장파] (The Wave Principle Nature's Law Finalcial World Articles) (0) | 2022.10.02 |
---|---|
엘리어트 파동이론 2파 조정 매매 활용_(이론) (0) | 2022.10.01 |
앨리어트 파동이론_(조정파의 형태와 복합조정) (0) | 2022.09.29 |
엘리엇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_(조정파와 연장파)_(개론3) (0) | 2022.09.16 |
엘리엇 파동이론(Elliott wave principle)_(개론2) (4) | 2022.09.10 |